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야구 배트와 공의 가격은 모두 1달러 10센트다. 배트의 가격은 공의 가격보다 1달러 높다. 그렇다면 공의 가격은 얼마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의 가격이 10센트라고 망설임없이 말한다. 하지만 정답은 5센트다.


인간은 결코 이성적이지 않다.

Posted by GTHJ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미국 민주당의 대선후보 경선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버니 샌더스가 자신이 추구하는 정책과 방향에 대한 내용을

담은 홍보 영상 입니다.

그는 이 영상에서 미국사회의 불에 대한 불평등에 대해서 중점으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무소속으로 활동하던 그가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하면서 초반엔 민주당내에 좀더 진보적인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정도 였으나 경선이 진행되면서 예상을 크게 벗어나 유력 주자였던 힐러리 클린턴을 위협하는 후보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경제적 불평등이 점점 심해지는 것이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인 이슈인데요. 그의 주장이 많은 사람들에게 지지를
받을 만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http://youtu.be/zUQgg1G4M0U



Posted by GTHJ

2016. 2. 12. 00:39 카테고리 없음

MAU 란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MAU(Monthly Active Users)는 한 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의 수를 말한다. 보통 게임 등 인터넷 기반 서비스에서 해당 서비스를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중에 하나로 활용한다.
MAU를 측정할 때에는 한 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 수를 체크해 매기게 된다. MAU는 순수 방문자 수(Unique Visitor)를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한 명이 해당 기간 동안 여러 번 서비스를 이용했더라도 단 한 명으로 집계해야 한다. 집계하는 시점은 제 각각이긴 하나, 페이스북(Facebook) 등에서는 유저가 게임 시작 화면을 볼 때 집계하거나 모바일 게임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실행시 집계하는 식으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집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페이스북 소셜 게임이나 모바일 게임에서 MAU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지속적으로 MAU를 측정하면서 변화하는 추이를 지켜보면 유저들의 이용 패턴을 연구하는데 적절할 뿐 아니라 서비스의 성공을 나타내는 데 있어 기존에 활용하던 지표보다 신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또한 월 단위의 서비스 집계를 통해 인기가 변화하는 과정을 장기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다른 인터넷 서비스보다 특히 소셜 게임 서비스 업체나 모바일 게임 서비스사는 MAU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당 지표를 홍보 목적으로 공개하거나 서비스가 얼마나 성공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 때 함께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가입자 당 평균 수익)등을 참고해 전략 수립 활동을 하기도 한다.
MAU와 함께 쓰이는 지표로는 일간 순수 활동 유저 수를 나타내는 DAU(Daily Activity User)가 있다.

Posted by GTHJ

블로그 이미지
GTHJ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